전체 글 (71) 썸네일형 리스트형 [C++] 1-10 함수의 오버로딩 설명 및 조건 함수의 오버로딩 C++언어에서는 동일한 함수명을 갖는 여러 함수가 존재하더라도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인수의 개수와 인수의 데이터형을 검사해서 함수를 호출하기 때문에 같은 이름이더라도 동일한 이름의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은, 오버로드된 함수들은 반환하는 값의 데이터형이 같아야 한다. 그 이유는 반환하는 데이터로 오버로드되는 함수들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각 함수가 사용하는 인수의 개수와 인수의 데이터형으로 구분하기 때문이다. int sub(int a, int b); char sub(int a, int b); 위와 같이 안수의 개수와 데이터형은 동일한데 반환되는 데이터형이 다르면은 오류가 발생된다. 예제 1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add(int, i.. [C++] 1-9 인라인 함수 장점과 단점 인라인 함수란? 인라인 함수는 일반 함수처럼 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호출한 위치의 라인상에 직접 복사하여 실행하게 된다. 그래서 인라인 함수는 일반 함수를 호출하였을 때처럼 실행한 뒤 다시 복귀하는 시간이 소모되지 않으므로 실행 속도가 더 빠르다. 하지만 인라인 함수의 코드가 길고 자주 호출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자체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짧은 코드로 이루어진 함수들을 인라인 함수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인라인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nline이라는 예약어를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인라인 함수는 반드시 호출 전에 정의되어 있어야만 main() 함수 내에서 inline으로 전개된다. 예제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line int min(int a,.. [C++] 1-8 함수의 참조 전달 (참조자 매개변수) 함수의 참조자 매개변수 참조자를 가인수로 사용하여 call by reference 방식의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다. 참조자를 가인수로 사용하면 실인수 앞에 &를 붙이지 않아도 컴파일러는 실인수의 주소를 자동적으로 가인수에 전달한다 (실제로는 실인수 앞에 &를 붙이면 오류가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함수의 가인수로 참조자를 사용하면 포인터를 가인수로 사용하는 call by reference방식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 연산자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니 편리하다. 예제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swap(int& x, int& y);//함수의 원형 선언 int main() { int x, y; x = 100, y = 600; cout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4 다음